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webflux
- Spring Boot
- 딥시크
- 본인확인
- docker
- netty
- API
- 코틀린
- 본인인증
- exception
- spring security
- PostgreSQL
- NGINX
- Kotlin
- AWS
- 컨퍼런스
- IntelliJ
- Mono
- 보안
- db
- Flux
- AOP
- Spring
- 인증
- deepseek vs chatgpt
- 로그인
- 허깅 페이스
- ktlin
- postgis
- 공동인증서
- Today
- Total
목록netty (2)
[수미수의 개발 브로구]

1. 들어가기 전 MSA(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(Micro Service Architecture) 로 구성되어 있는 환경에서는 복잡한 시스템에서 서버간 통신을 효율적으로 관리 하기 위해 API Gateway 를 사용하여 설계 하며, 현재 업무에서도 API Gateway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. MSA 환경이 아닌 예전에는 L7 또는 L4 장비를 두고 뒷단에 Web Server, WAS(Web Application Server) 를 배치 하는 구조로 설계를 하였습니다. 해당글에서는 MSA 와 같이 분산 환경에서 API Gateway 에 대해서 이해 하고, 여러 Gateway 솔루션 중 개발자 중심의 Spring Cloud Gateway 와 AWS 에서 제공 하는 AWS API Gateway 에 대해서 비교..

들어가기 전 지난 글에서는 Spring WebFlux가 무엇이며, Spring MVC 와의 차이점 그리고 왜 Spring WebFlux를 써야하는지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. Spring WebFlux 가 동작 할때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서버는 Netty를 사용하고 있으며, Reative 스타일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Reactor 프로젝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Netty 서버가 무엇인지 간략하게 알아보고, Reactive Stream Publisher 구현체인 Mono 와 Flux 에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네티란 Netty is an NIO client server framework which enables quick and easy development of n..